근시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술로는 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등 다양하다. 눈의 상태, 수술 후 시력 개선 가능성, 부작용 등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수술을 선택해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고 만족도도 높다. 시력교정술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송종석 고려대 구로병원 안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드림렌즈, 일시적 시력 개선 효과

드림렌즈는 잠자는 동안 착용해 각막을 눌러서 시력 개선 효과를 주는 방법이다. 

잠잘 때만 착용하므로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하지 않고 수술하지 않아도 시력 교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효과가 일시적이고, 매일 잘 때 렌즈를 착용해야 하는 점, 렌즈 착용 과정에서의 감염 우려 등은 일반 렌즈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과 같다. 부작용이 나타나면 언제든지 사용을 중지하면 되므로 부담이 적다.

◇각막 깎아내는 라식ㆍ라섹

라식과 라섹은 둘 다 각막을 레이저로 깎아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인데 깎아내는 각막 위치가 다르다.

라식은 각막을 절개해 절편을 만들어 안쪽만 잘라내고 다시 덮는다.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수술 다음 날부터 시력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반면 라섹은 각막 상피만 얇게 벗겨내는 방식이다. 라섹은 각막 두께가 얇아도 시술이 가능하고,

하지만 표면에 상처를 내는 만큼 상대적으로 회복이 더디고 통증이나 시림 등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수술 후에 각막은 많이 남길수록 안전하고, 적어도 250~300㎛는 남겨야 안전하다고 보는데 각막이 너무 얇아지면 안압 때문에 각막돌출증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각막이 얇은 사람은 라식보다 라섹을 선택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고도 근시를 위한 렌즈삽입술

각막 두께가 얇아 라식이나 라섹이 불가능하거나, 초고도 근시일 경우 렌즈삽입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렌즈삽입술은 눈 안에 소프트렌즈를 삽입하는 것이므로 각막을 깎는 시력교정술로 인해 발생하는 안구건조증 등의 부작용은 없다.

하지만 렌즈삽입술은 각막을 째고 안에 렌즈를 삽입하는 고난도 수술이므로 수술 후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수술 전 꼼꼼한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기에 백내장이 발생하는 시기가 빨라질 수 있고, 각막내피세포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상태를 검사해야 한다.

각막내피세포는 한번 손상되면 회복되지 않는데, 각막내피세포가 ㎟당 1,500개 이하로 줄어들면 삽입했던 렌즈를 제거해야 한다. 이 시기를 놓치면 각막을 이식해야 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으므로 정기검진이 필수다.

◇너도나도 시력교정술? 수술은 언제?

시력교정술은 하지 않고도 지낼 수 있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벼이 생각하지 말고 결정해야 한다.

각막이 얇고 고도 근시가 있으면 라식이나 라섹 수술은 권장되지 않는다. 본인이 평소 안구건조증이 있다면 시력교정술로 안구건조증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눈에 포도막염 등 이유 없이 염증이 생겼다면 시력교정술이 염증을 유발하거나 다른 사람보다 부작용 가능성이 클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결정해야 한다.

수술 시기도 중요한데 19~20세 이후에는 시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성인이 된 이후에 수술하는 것이 권장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