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7 12:23
3. 아랫몫같은 깊숙한 곳에 숨어있는 인격의 근본, 阿賴耶識 (아뢰야식) 제2송, 3구, 4구.
제 2 송, 제 3 句,
初阿賴耶識(초아뢰야식), 初(처음)의 것은 아뢰야식 이다
異熟一切種(이숙일체종), 異熟된 一切種 이다
不可知執受(불가지집수), 不可知의 執受와
處了常與觸(처료상여촉, 處와 了가되어 常으로 觸 한다
作意受想思(작의수상사, 作意와 受와 想과 思가 공동으로
제 2 송, 제 4 句,
相應唯捨受(상응유사수), 그저 捨受로 만(唯) 相應 한다
是無覆無記(시무복무기), 是(이것은) 無覆無記가 된다
觸等亦如是(촉등역여시), 觸等도 또(亦) 이와 같다(如是)
恒轉如瀑流(항전여폭류), 恒(항상) 轉하는것 瀑流와 같다(如瀑流)
阿羅漢位捨(아라한위사), 阿羅漢位(아라한의 자리에서) 捨(버려진다)하게 된다
제 3 구,
초능변(初能變)은 아뢰야식 이다.
이숙식(異熟識)이라고 하고 또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이라고도 한다.
소연(所緣)은 不可知의 執受(種子, 有根身'신체')와 不可知의 處(기물의 세계) 이다.
능연(能緣)은 不可知의 了別(료별)의 "마음" 이다.
常으로 觸, 作意, 受, 想, 思의 5 편행(遍行)의 심소(心所)와 같이 작용(働) 한다.
제 4 구,
受에서 말 하자면 捨受(非苦非樂)이다.
三性(善惡無記)에서는 (말 할때), 無記 이다.
공동으로 작용(働)하는 觸等의 心所도 그것과 連(연관) 한다. 아뢰야식도 같은 성질이다
恒(항상) 격류와 같은 흐름을 계속 한다.
阿羅漢位에서는 아뢰야식 이라고 불리우는 성질은 없어(버려) 진다.
1). 初能變(아뢰야식)의 三 각도(角度),
阿賴耶識, 異熟識, 一切種子識(제 2 송, 3, 4 句)의 頌(노래)에서는 初能變을 異熟識이라고도 말 하고 있는데, 初能變을 상세히 설명 할 때는 , 적어도" 阿賴耶識", "異熟識", "一切種子識" 이라고 하는 제 8 識의 별명을 열기하게 된다. 명칭은 그것의 성질과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 세 이름에 의해 표명되는 삼면(세 각도의)의 제 8 識이 특히 주요시 하게 된다고 생각 해도 되겠다.
2). 藏(감출 장)의 三義 (能藏, 所藏, 執藏),
(1). "阿賴耶識" 이란 무엇인가.
"아뢰야"란, "축적한다" " 가지고 있다" 와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범어(梵語)를 한자로 음사한 것이다. 그 음사어에 " 마음"을 뜻하는 "識(식)" 이라는 자를 결합시켜 만든 글자 인데, 中國에서는 "藏識(장식)" 이라고 번역 했다. 즉 "阿賴耶識"이라고 하는 것은"사물을 축적하여 가지고 있게 되는 "마음"이라고 하는것이 되겠다. "阿賴耶識"은 전통적으로는 "아라야 識"이라고 읽는것이 관습화 되어 있었는데, 최근에 와서"아~라야識"이라고 읽고 있다고 한다. 그것은 "阿"라고 하는 글자를 "俱舍論(구사론)" 권 四에 "아~"하고 길게 뽑을때에 이 글자를 사용하고 있었고, 그렇지 않을 때는 "亞(아)"字(자)로 표시하기 때문이다. "俱舍論" 도 玄奬三藏의 번역이니까, 당시, "阿"를 길게 빼어 읽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 그러나 지금은 보통 "아라야識"이라고 읽는데 익숙 해 있다. 그러나 梵文연구가 성황을 이루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는 "아~라야識"이라고 원어로 표기하고 있는 례가 늘어 나고 있다. 그 阿賴耶 = 藏識이라고 하는 성질은, 제 8 識의 "自相(자상, 스스로의 모양)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제 8 識의 독자적 성질이라고 해도 되겠다. 축적하고 보관하고 있는 성질, 인간을 그 경험의 각도로 부터 포착(捕捉)한 것이 되겠다. "成唯識論"은, 인간의 경험구조를 상세히 설한 "論" 인데, 唯識에서 보아넘기지않고 직시하는 중요한 인간관을 나타내고 있다. "成唯識論"에 따르면, 그 "藏"이라고 하는 성질을 보통 셋으로 분석 한다.
가. 能藏(능장) = 能----아뢰야 식
= 持種義(지종의)
所----種子
나. 所藏(소장) = 能----7 轉識(7전식)
= 受熏義(수훈의)
= 所----아뢰야식
다. 執藏(집장) =能---- 末那識(마나식)
= 執我義(집아의)
=所-----아뢰야식
가. 能藏은, "아뢰야識"이 "種子"를 보관한다는 의미이다. 아뢰야識이 種子를 쌓아 놓고 그 種子를 간직 보관하는 작업을 계속한다는 면을 말 한다. 쌓아 놓는것이 아뢰야識, 쌓아 놓아진것을 種子라고 한다. 인간은 자기의 소질과 늘력과 경험을 인격의 뿌리밑바닥에(근본에) 각인하고 그것을 보관하며 이 행위를 계속 하고 있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種子"에 기반하여, 이러저러한 인생모양을 전개 한다. 그런 면을 "能藏(능장)이라고 한다. 種子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는 것으로 "持種(지종)의 義"라고 한다.
나. 所藏(소장)은, 아뢰야識인데, 이번에는 받아드려서 전환 시킨다는 일면 이다. 작용(働) 해 오는 "能"의 위치에 서게 되는것은 7 轉識(안,이,비,설,신의 前5識과 제 6 意識, 제 7 末那識) 등이고, 받아드려야 하는"所"의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은 아뢰야識 이 된다. 즉 구체적으로 여러가지로 움직이면서 활동하게되는 것은 "轉識(전식)"이 되겠는데, "전식" 그 움직임의 활동을 남김없이 인격의 근본(심층심리)에 던져 넣고 있다는 것을 말 한다. 결국, "能"의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이다. 그것에 대하여, 아뢰야識은 轉識보다 투입되어오는 것들을 수용하며 멈추게한다는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 "所"라고 하게 된다. 투입되어 들어 오는것을 "種子"라 하고, 그것을 받아드려 인격의 근본에 쌓아 두는것을 "熏習(훈습)"이라고 하기 때문에, 이것을 "受熏(수훈)의 義" 라고 한다. "種子" "熏習"에 관해서는 후술 하겠다.
다. 執藏(집장) 은, 집착되었다는 측면 이다. 집착한다 결국, "能"의 위치에 선다는 것은, "제 7 末那識" 인데, 집착 되었다 라는 "所"의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은 "아뢰야識" 인 것이다. 아뢰야識은 인격의 根低(근저, 근본이)가 되는 부분을 분석 해서 적출한 것이 되겠는데, 그렇다고 헐 때, 그 성격은 대체로 큰 변화라든가 전환은 많지 않고, 그 사람의 특성이 통일되어 지속되는 것임으로, 그런 자기상이 불변의 자기라고 착각하기 쉽다. 어제의 자기가 오늘의 자기와 동일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그 뿐 만 아니라 어린 아이적 자기와 지금의 자기와의 사이에서 마저, 변화를 초월한 통일적 인격상을 우리들은 무의식리에 확신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인격의 근본에서 보여지는 인간의 경영면을 唯識佛敎는 아뢰야識 "所"와 末那識의 "能"과의 관계로서 포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집착(執着)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이것을 "執我(집아)의 義"라고 한다. "능장" 소장" "집장"이 三藏이고, 그것대로 "能"과 "所"로 분석하는데, 그 "能"과 "所"의 관계의 내용은 서로 다르다. 이렇게 藏"의 三義를 보게되면, 아뢰야識은 "所"의 성질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 존재의 근원에서 받아드리는 신성(身性)을 거기서 보게되는것 같이 생각켜 진다. 종교라는것은 자기의 근본에 있는 "所"의 측면에 눈을 떠야 된다고 하는 것은 아닐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 | 2). 阿賴耶識의 "現行種子" 그 1. | 김일하 | 2024.08.13 | 17 |
9 | 2) 阿賴耶識의 "現行熏種子" 그 2. | 김일하 | 2024.08.14 | 21 |
8 | 2. 阿賴耶識의 種子生現行(종자생현행) | 김일하 | 2024.08.21 | 12 |
7 | 阿賴耶識, 種子生現行 그 2. | 김일하 | 2024.08.25 | 12 |
6 | 阿賴耶識, 種子生現行 그 3 [1] | 김일하 | 2024.08.27 | 11 |
5 | 아뢰야식(阿賴耶識), 종자현행(種子現行)그 4 | 김일하 | 2024.08.31 | 11 |
4 | 唯識三十頌(유식 30 송), 玄奬三藏法師 譯(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4.10.05 | 5 |
3 | 유식30송(唯識三十頌), 현장삼장법사 역(玄奬三藏法師 譯 | 김일하 | 2024.10.13 | 4 |
2 | 유식30송, 현장삼장법사역 | 김일하 | 2024.10.20 | 3 |
» | "유식30송" 현장삼장법사 역, 아랫몫 깊숙이 숨어있는(奧深) 인격의 밑바닥 | 김일하 | 2024.10.2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