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10:20
6. 無心(무심)일 때, 五位無心(오위무심) 第十六頌.
意識常現起(의식상현기) 意識이란 항상(常)일어난다(現起한다).
徐生無想天(서생무상천) 無常天에 생겨나게(徐生)되면,
及無心二定(급무심이정) 無心이 미칠 二定과
睡珉輿悶絶(수민과 悶絶(민절)들을 除(뗄제)한다.
意識은 항상 現起 한다. 단지 無想天에 생겨났을 때와 두개의 無心定에 入定(입정)했을 때와 깊은 수면(深睡眠)에 빠졌을 때와 悶絶(민절)했을 때에는 작용(働)하지 않는다 라고 요약 할 수 있겠다. "前五識"이 조건에 의하여 現起의 相이 변하는것에 대하여 "第六意識"의 生起의 조건이 적어지게 됨으로, 조건이 정돈되기 쉬워지게 되기 때문에, 의식은 지속적으로 작용(働)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 五位의 상태가 될 때는 작용(働)하지 않게 된다고 하면서. 그런상태를 "五位無心"의 상태라고 한다. 五位의 상태는 (1). 無想天, (2). 無想定, (3). 滅盡定(멸진정), (4). 極睡珉, (5). 極悶絶 이다.
제 1 無想天이란, 色界 제 4 禪中에서 廣果天(광과천에 있을 때라고 한다. 그곳에 태어나게되면 제 6 의식이 작용하지 않는다. 제 2 無想定이란, 無想天에 태어나기 위하여 수행하게되는 禪定을 말 한다. 이때도 제 6 의식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 3 滅盡定은, 이 禪正에 들게되면 제 7 末那識마저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깊은 禪定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3 位는, 현재의 우리들에게 있어서는 이해가 어려운것이, 無想天이라고 하지만 , 고대 인도의 세계관에 기반을 둔 특별한 세계의 실재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無想, 滅盡의 2無心定역시 설명을 듣고 상상하는데 불과하기 때문에, 실감을 가지고 이해하는데는 곤란이 있다는 것이다. 제 4 의 睡珉 과 제 5의 悶絶에 관 해서는, 수민중의 일, 기절 했을 떄 와 실신과 같은 상태에 빠졌을 경우를 생각하며 어렵지 않게 상상하게 될 것이다. 이것을 五位無心이라고 한다. 無心의 "마음"은 제 6 의식 을 지칭한다. 이와같이 단절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것을 "有間斷(유간단)"이라고 한다. 前五識도 제 6 의식도 전부 "有間斷의 識" 이 되겠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29 | '유식 30송"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16 | 2 |
228 | "유식 30송" 현장감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14 | 4 |
227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13 | 5 |
226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10 | 5 |
225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9 | 9 |
224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8 | 9 |
223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7 | 10 |
222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6 | 8 |
221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5 | 9 |
»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4 | 6 |
219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4.01 | 7 |
218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29 | 6 |
217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26 | 6 |
216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23 | 7 |
215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19 | 6 |
214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18 | 9 |
213 | "유식 30송"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16 | 5 |
212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07 | 8 |
211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3.06 | 6 |
210 | "유식 30송", 현장삼장법사 역 | 김일하 | 2025.02.26 | 6 |